반응형

centos 5

xrdp 설치를 통한 GUI 환경 구축하기(+포트변경)

이번에는 xrdp를 설치하여 GUI환경에서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원격 작업을 할 시 명령행을 통해 관리하는 작업을 통한 작업은 기본적으로 필요하지만 GUI환경에서 작업함으로써 편하게 할 수 있는 작업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. 그래서 윈도우즈처럼 SSH가 아닌 방법으로 리눅스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xrdp를 설치하고 사용해 보겠습니다. "CentOS 7에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." 01 xrdp 설치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xrdp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. yum install xrdp -y 02 포트 변환 RDP의 경우 3389의 등록된 포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는 port를 수정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. 이는 /etc/xrdp/xrdp...

ITStudy/Linux 2021.06.12

VMware 상 CentOS8 최소 설치 후 네트워크 고정IP 설정

이번에는 VMware에 CentOS을 최소 설치로 설치 한후 네트워크를 고정 IP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시스템 구성 HOST - Windows 10 VM - VMware 16.0 GUEST - CentOS8 HOST 시스템에서 VMware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해 봅니다. VMware는 자체로 게이트웨이, DHCP, DNS 역할을 모두 해줍니다. VMware GUEST를 오른쪽 클릭해서 setting의 NetWork Adapter: NAT 설정을 확인해줍니다. cmd 창에서 ipconfig /all 명령어를 이용해 VMnet8의 정보를 확인해줍니다. C:\Users\user> ipconfig /all 이더넷 어댑터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: 연결별 ..

ITStudy/Linux 2021.02.11

Linux 실습을 위한 CentOS & VMware 설치(2)

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Linux 실습환경 설치를 위해 CentOS를 설치해보도록하겠습니다. VMware 설치와 관련된 포스트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주시기 바랍니다. 실습 환경 준비 - 가상머신: VMware 16.0 Player - 가상OS: CentOS8.5 CentOS8 다운로드 및 설치 CentOS는 레드햇 리눅스 계열로 레드햇에서 정식으로 지원하는 정식 무료 배포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실습환경에서는 CentOS8를 가지고 진행해보도록하겠습니다. * 레드헷에서 2020년 12월 8일 CentOs8에 대한 지원을 2021년 말에 서비스 지원을 종료할 것을 발표했습니다. 향후에는 CentOS Stream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(출처: https://blog.c..

ITStudy/Linux 2021.02.03

Linux 실습을 위한 CentOS & VMware 설치(1)

이번 시간에는 Linux 실습환경 설치를 위해 VMware 및 CentOS를 다운로드 받고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 환경 준비 - 가상머신: VMware 16.0 Player - 가상OS: CentOS8.5 VMWare 다운로드 및 설치 VMware는 대표적인 S/W단에서 가상화를 통해 가상머신을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 유료 버전과 무료버전이 있는데 개인실습용이라면 무료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1. VMWare 다운로드 아래의 URL로 접속하여 Windows용 Workstation 16.0 Player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 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 실 수 있습니다. VMware 설치 URL: www.vmware.com/kr/products/workstation-play..

ITStudy/Linux 2021.02.02

Linux 파일구조 및 Hard Link와 Symbolic Link의 이해

리눅스의 파일구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많이사용하는 윈도우즈와는 사뭇달라 꼼꼼히 알고 넘어가는 것이 리눅스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1. 파일구조 > ls -l 명령어를 통해 목록리스트를 살펴보았을 때 [그림 1]과 같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음 [그림 1] 파일 구조 1.1. 파일유형 1.2. 파일허가(허가권) : 이러한 허가권은 chmod 명령어를 통해 수정 될 수 있음 2.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 2.1. 하드링크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를 사용 원본 수정 시 하드링크도 수정됨 원본의 이동이나 삭제 시 남아 있음 파일복사와 차이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것임 2.2. 심볼릭링크 Windows의 바로가기 아이콘과 유사함 새로운 inode를 사용 주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..

ITStudy/Linux 2021.01.23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