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Study/Linux

Linux 파일구조 및 Hard Link와 Symbolic Link의 이해

Todays Goal 2021. 1. 23. 22:27
반응형

리눅스의 파일구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많이사용하는 윈도우즈와는 사뭇달라 꼼꼼히 알고 넘어가는 것이 리눅스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1. 파일구조

> ls -l 명령어를 통해 목록리스트를 살펴보았을 때 [그림 1]과 같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음

 

[그림 1] 파일 구조

 

 

  1.1. 파일유형

    

 

  1.2. 파일허가(허가권) : 이러한 허가권은 chmod 명령어를 통해 수정 될 수 있음

    

 

2.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

  2.1. 하드링크

   

     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를 사용

      원본 수정 시 하드링크도 수정됨

      원본의 이동이나 삭제 시 남아 있음

      파일복사와 차이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것임

  2.2. 심볼릭링크

    

      Windows의 바로가기 아이콘과 유사함

      새로운 inode를 사용

      주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링크임

      긴 디렉토리명을 이동 시 유용함

      원본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면 사용하지 못함

      원본 자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역할뿐이므로 원본 수정 시 수정데이터가 보임

      원본의 삭제 시 링크가 끊김

 

  2.3.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의 사용

    2.3.1. 원본 파일 생성  

     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를 연계한 파일을 작성하기에 앞서 원본 데이터를 [그림 2]와 같이 작성해 보았습니다.

      실습 디렉토리는 test 유저의 홈디렉토리로 해당 디렉토리에서 cat 명령어를 통해 test.txt 파일을 생성합니다.

      디렉토리 내 목록을 확인했을 때 일반 파일 유형의 test.tx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     

 

    2.3.2. 링크 파일 생성 

      ln 명령어를 통해 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파일들의 inode를 확인하였을 때 [그림 3]과 같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      하드링크는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inode를 가지며, 심볼릭링크는 원본데이터와 다른 신규 inode를 할당받습니다.

      

 

    2.3.3. 링크 파일의 특이사항

      원본데이터의 이전과 함께 발생하는 특이사항을 [그림 4]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     

  

 

3. 결론

  파일 구조는 가장 기초적인 부분으로써 앎으로써 모자란 부분이 없습니다.

  링크 파일은 제각기 사용하기에 따른 장단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  경우에 따라 사용하여 운영에 보다 나은 효과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